카테고리 없음

[조선시대사 정리노트] 세조의 집권 - 계유정난

취미와 문화 2021. 4. 18. 16:35
반응형

수양대군(세조)의 찬탈

 

1. 문종 

  1) 의정부 첨사원의 도움 :건강이 나빠 의정부에게 많은 정무를 맡길 수 밖에 없어, 의정부의 권한을 늘려줄 수 밖에 없었음.

  2) 어린 나이에 죽음

 

2. 단종

  1) 문종의 동생, 즉 삼촌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찬탈당함. 의정부의 권력이 지나치게 강력해지면서 의정부가 인사(이조), 군사(병조)를 지휘하는 "황표정사(黃標政事)"가 자행되어버림.

  2) 계유정난에 반대하여 이징옥의 난 발생

 

황표정사에 대한 당시 사관의 논평)
인주(人主)는 손하나 움직일 수 없는 괴뢰적인 존재로 전락되고, 백관은 왕명을 거들떠보지도 않았으며, 의정부가 있는 것은 알겠으나 군주가 있는 것은 알지 못한 지가 오래되었다(≪世祖實錄≫권 2, 세조 원년 8월 임자).(출처 : 한국사 데이터 베이스)

 


세조 시기

 

1. 세조

  1) 육조직계제 실시

  2) 정난에 공훈이 있는 훈구와 종친 기용

  3) 집현전 혁파 및 경연 금지

  4) 사육신의 난

  5) 군사제도로서 보법 - 정군과 보인 구분, 중앙군 5위제, 지방군 진관체제

  6) 토지부족 현상에 대한 대응으로 직전법 실시, 현직관리에 토지 지급, 수신전과 휼양전을 없애버림. 직전법은 현직자에게 지급대상이 한정되어 의외로 왕권을 강화하는 효과를 얻었다.

  7) 이시애의 난 발생(유향소 폐지),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는 남이 장군과 유자광

  8) 경국대전 편찬

 

 

* 참고자료 : ebsi 김정현 2018 한국사, 한국사 데이터 베이스, db.history.go.kr/item/level.do?setId=46&totalCount=46&itemId=nh&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position=10&levelId=nh_022_0020_0030_0010_001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84%B8%EC%A1%B0+%EC%A7%81%EC%A0%84&searchKeywordConjunction=AND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세종은 태종이 薨逝한 동왕 4년(1422)부터 친정을 행하면서 강한 의지력, 호학과 근면한 정사를 통하여 왕권을 안정·강화하였으며,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문물을 크게 정비하고 발전시켰다

db.history.go.kr

db.history.go.kr/item/level.do?setId=46&totalCount=46&itemId=nh&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position=11&levelId=nh_022_0020_0030_0020_002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84%B8%EC%A1%B0+%EC%A7%81%EC%A0%84&searchKeywordConjunction=AND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세조는 국왕 중심의 정치운영을 위하여 즉위와 함께 의정부서사제를 혁파하고 6조직계제를 실시한 바 있지만, 재위기간을 통해 6조 중심의 국정체제를 강화하고 중앙과 지방의 정치·군사제

db.history.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