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중세사 정리노트] 조위와 서진 - 병호제, 둔전제, 중랑장 1. 위-촉-오 중에 무엇을 정통으로 볼 것인가. 1) 진수(233~297)의 : 위나라에만 제왕의 본기를 두어 정통왕조로 서술. 그 이유를 생각해보면, 진수가 아버지 때에도 촉 출신이었지만, 제갈량에게 미움을 받아 추방을 당했고, 서진으로 귀양했기 때문일 수도 있음. 서진이 위나라를 계승했으니, 정통을 위에 둔 것이지요. 실제로 위나라가 강성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촉과 오의 왕은 신하로 취급하였는데, 세가가 아니라 열전으로 기술하고 있는 이유는 사마천의 이후로 세가는 없기 때문. 2) 북송 시기 사마광 : 무통론 - 정통이 없다고 주장. 중립인 것처럼 이야기한 것이지만, 그 사마광의 태도에 대해 주희가 비판함. 왜냐하면 애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