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중세사 정리노트] 서진의 멸망 - 팔왕의 난, 영가의 난 1. 팔왕의 난(300~306) 서진시기 중국의 호족이라는 이들이 점차 문벌귀족으로 바뀌어갔음. 그런 한편 서진은 상비군을 축소하고, 소속된 군대를 해산하여, 대신 왕자들에게 군대를 나누어주며 지방의 요지에 분봉하는 봉건제를 실시. 사마씨 일족을 제왕으로 봉해 정권을 지탱하는 울타리로 삼으려 했고, 제왕들에게 봉토 내 호구 및 일정 수의 군대까지 받았던 것. 이것이 패착. 그게 문제가 되어 8왕의 난을 가져오게 됨. 팔왕의 난 발생 자체가 멸망까지 이끄는 결정타라기보단, 5호(다섯 오랑캐)를 끌어들였다는 것이 문제. 팔왕의 난은 서진 왕자 여덟 명이 참여했던 반란. 무제 말년 이래 성장해온 양준 등 외척 양씨 세력이 황후 가씨와 대립했고,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