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사료정리] 3. 마한 진한 변한
1) 군장들의 이름들 - 신지, 견지, 읍차, 부례.
읍군 삼로는 옥저와 동예
삼한은 신지 읍차
2) 소도가 존재 - 제사장이 다스리는 영역. 제정분리를 상징. 제사장의 권한이 소도로 축소되었다는 것.
3) 계절제, 수리날 : 수리날은 대략 5월 경, 계절제는 10월 경
韓在帶方之南東西以海爲限南與倭接方可四千里. 有三種一曰馬韓 二曰辰韓 三曰弁韓. 辰韓者古之辰國也.
(해석문은 다음을 참조)
우리역사넷
한(韓)은 대방(帶方)의 남쪽에 있는데, 동쪽과 서쪽은 바다로 경계를 삼고 남쪽은 왜(倭)와 접경하니, 면적이 사방 4000리쯤 된다. 한에는 세 종족이 있는데, 하나는 마한(馬韓), 둘째는 진한(辰韓),
contents.history.go.kr
반응형
'한국 전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사료정리] 5. 부여의 특징 (0) | 2021.05.13 |
---|---|
[한국사 사료정리] 4. 고조선의 멸망 (0) | 2021.05.13 |
[한국사 사료정리] 2. 범금 8조 (0) | 2021.05.13 |
[한국사 사료정리] 1. 고조선 왕검조선 (0) | 2021.05.13 |
[조선시대사 정리노트] 을사사화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