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고대사 정리노트] 히브리, 페니키아, 에게 문명
히브리 문명
1. 히브리 문명이란 : 이스라엘 사람들의 선조로서, 팔레스타인에 이룩한 문명. 본래 메소포타미아 우르 출신.
2. 히브리 문명의 특징 : 1) 유일신 사상 2) 선민사상 3) 메시아 사상
페니키아 문명
1. 페니키아 문명의 특징 : 팔레스타인 북쪽 해안로를 주로 사용하여 지중해 교역에 종사. 아프리카 북부 카르타고 지역까지 진출하여 농업활동을 하기도 하였음.
2. 페니키아 문자 : 지중해를 중심으로 교역활동을 하던 와중에 페니키아 문자를 그리스에 전파하였음. 오늘날 알파벳의 기원으로 지목됨.
카드모스와 함께 이주한 포이니케(페니키아)인들 - 게퓌라이오이 가도 그 중에 일부였다 - 은 보이오티아에 정착함으로써 헬라스에 여러가지 문명, 특히 문자를 도입했는데, 내가 알기에 그때까지 헬라스인들에게 문자가 없었다. 처음에 포이니케의 이주민들은 모든 포이니케 인들이 사용하는 문자를 사용했다. 포이니케인들에게 문자를 배운 것은 이들 이오네스족이었다. 이오네스 족은 포이니케 문자의 모양을 약간 변형했으나 자신들이 사용하는 문자를 여전히 포이니케 문자라고 불렀는데, 당연한 일이다. 문자를 헬라스에 도입한 것은 포이니케인들이었기 때문이다. - 헤로도토스, <<역사>>5, 58.
에게 문명
1. 에게 문명의 발견 : 트로이의 흔적을 하인리히 슐리이만이 발굴한 것을 계기로, 트로이 전쟁 이야기가 실제였음을 밝힐 수 있었음. 자연스럽게 트로이 전쟁을 일으킨 미케네 왕 아가멤논의 이야기가 있으니, 미케네 역시 있었으리라는 생각에 도달하게 됨. 아가멤논의 왕궁 터는 지금 발굴된 상태.
2. 크레타(미노스, 미노아) 섬 발굴작업 : 슐리이만이 마저 발굴하려 했으나 죽는 바람에 중단. 에반스라는 영국의 고고학자가 그를 이어 크노소스를 발굴해 내었음. 크노소스 궁전 안에는 '파리의 여인들'이라는 프레스코 벽화 그림이 유명함.
에반스는 또한 선형문자 A, 선형문자 B를 발견해내었음. 이 선형문자 A, B는 크레타와 미케네 본토 모두에서 발견되었음. 선형문자 A는 에게 문명 전체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선형문자 B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리라 추측되고 있음. 선형문자 B는 1953년에 미카엘 벤트리스라는 사람에 의해 해독되었지만, 선문자 A는 아직 해독되지 않은 상태.
소아시아 사람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던 크레타 섬의 사람들은 미노스 왕 시절에 세력을 확장한 것으로 보이나, 훗날 미케네 인들이 남하하게 됨. 미케네 문자인 선문자 B를 이용하여 에게 문명의 변화과정을 추론해낼 수 있음. 트로이 전쟁에서 전설이 전하듯, 트로이 왕자 파리스가 아가멤논의 동생인 스파르타왕 메넬라오스의 왕비 헬렌(헬레네)을 유괴한 것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강대해진 그리스 본토의 소왕국이 미케네를 맹주로 하여 소아시아로 진출한 정복전쟁. 트로이 전쟁은 기원전 13세기로 추정.
3. 미케네의 몰락 : 트로이 전쟁 이후 전성기가 끝난 미케네는 북쪽에서 내려온 도리스인들에 의해 파괴되고, 기원전 1100년부로 에게 문명 전체가 암흑시대로 들어가게 됨. 즉, 에게 문명의 청동기 문화가 철기 문화에 의해 파괴된 것임.
트로이 전쟁의 배경
트로이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1. 무역전쟁설 : 트로이라고 하는 것이 흑해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음. 그런데 흑해 주변 지역이 비옥한 밀 생산지. 그리고 그리스는 지금도 경제적으로 농업생산력이 높지 않아 자급자족률이 높지 않으니, 일찍이 흑해 연안으로 나아가 자신들의 생활환경을 넓혔는데, 그 무역거점으로 트로이가 필요했다는 것. 그런데 미케네가 강국이 되다보니, 그 지역을 점령함으로써 무역의 주도권을 잘 확보하고자 했던 것.
2. 지역론 : 흑해로 가려다보면 물살이 너무 거세기에 다이렉트로 가기가 어려워서 트로이 지역을 장악한 다음에, 거기에서 일단 정착지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는 것.
3. 전략요충지론 ; 트로이가 교통과 전략의 요지였던 것이었다는 것. 결국 미케네 세력과 터키 지역의 소아시아 지역의 히타이트라는 오리엔트의 세력이 트로이에서 충돌한 것이라는 설명도 있음.
4. 경제위기론 (교학사 세계사 교과서) : 트로이 전쟁의 배경은 ‘미케네 문명 내부 자체에서 경제부분에서 쇠퇴’가 일어났다는 것. 특히 경제 부분에서 그리스라는 나라의 기반은 상업과 특히 무역. 특히 경제의 쇠퇴는 무역의 쇠퇴. 자기네가 살길을 마련해야 하는데, 트로이가 마침 눈에 들어옴. 즉, 내부 문제인 경제적 쇠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었음.
* 참고자료
서양사개론, 서울대학교 김덕수 교수님 서양고대사 강의,
'서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스파르타식 교육 - 강한 교육, 여성교육, 동성애적 교육 (8) | 2021.04.20 |
---|---|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 스파르타(라케다이몬)의 성립, 리쿠르고스 체제 (2) | 2021.04.20 |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고대 그리스 - 귀족정의 위기 (0) | 2021.04.16 |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고대 그리스 - 폴리스, 평민권의 신장 (2) | 2021.04.16 |
오리엔트 문명 메소포타미아 ~ 히브리 문명 초기사 (0) | 202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