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통일 신라 시대 농민의 생활 모습을 알려주는 자료가 남아있다. 이것을 작성하게 된 가장 중요한 목적을 쓰고, 이 목적을 알 수 있는 내용을 2가지 기술하시요.
當縣(당현)沙害漸村(사해점촌)見內(그 내부를 조사해보니)山□(木+盖?)地(산과 땅이)周五千七百廿五步(둘레가*周 5725보인데) 合孔烟(공연을 합하면)十一(十)(11~10이고) 計烟四余分三(계연은 4, 여분은 3이다.)
此中仲下烟四(이 중에 '중하연'은 4) 下上烟二(하상연은 2) 下下烟五(하하연은 5) 合人百卌七(二)(사람을 합하면 147~142명이고) 此中古有人(이 중 오래 있었던 사람)三年間中産(3년간 태어난 사람)幷合人百卌五(합쳐 사람은 145명이더라.) 以丁廿九【以奴一】(이에 정(남) 29명에 노(남자노비) 1명) 助子七【以奴一】(도와주는 자*助子는 7명에, 노*奴는 1명) 追子十二(一) 小子十(九)(뒤따르는 자*追子는 11~12명에 소자*小子는 9~10명이더라.) 三年間中産小子五(3년 동안 태어난 小子가 5명이고) 除公一(제공*除公이 1명이다.) 丁女卌二(卌)【以婢五】(정녀*丁女는 40~42명에, 비(여자노비)는 5명이다.) 助★{女/子}十一【以婢一】(도와주는 여/자는 11, 이에 비는 1명이다.) 追★{女/子}九 小★{女/子}女子八(뒤따르는 여/자는 아홉, 소여/자는 8명이다.) 三年間中産小★{女/子}八【以婢一】(3년 동안에 태어난 여/자는 8명이고, 여자노비는 1명이다.) 除母二(一)(제모*除(면제하다)母는 1~2명이요,) 老母一(노모는 1명이다.) 三年間中列加合人二 以追子一小子一(3년간 다른 마을에서 이사온 사람은 2명인데, 추자가 1명, 소자가 1명이다.)
合馬廿五【以古有廿二 三年間中加馬三】合牛廿二【以古有十七 三年間中加牛五】
合畓百二結二負四束 以其村官謨畓四結內視令畓四結 烟受有畓九▣▣(十四)結 二負四
束以村主位畓十九結七十負 合田六十二結十負▣(五)▣(束)並烟受有之
合麻田一結九負 合桑千四以三年間中加植內九十▣…▣(古有九百十四)
合栢子木百卄以三年間中加植內卅四古有八十六 合秋子木百十▣(二)以三年間中加植內卅八古有七十四
乙未年烟見賜節公朩前及白他郡中妻追移去▣ ▣(敎)合人五
以丁一 小子一 丁女一 小女子一 除母一 列廻去合人三〔七〕 以丁二 小女子一 丁婢一 死合人九〔十〕 以丁一
小子三以奴一 丁女一 小女子一 除母一 老母三 賣如白貫甲一
合无去因白馬二並死之 死白牛四
當縣薩下知村見內山榼地周万二千八百卅步 此中薩下知村古地周八
千七百七十步 掘加利何木杖谷地周四千六十步
合孔烟十五 計烟四余分二 此中仲下烟一 余子 下上烟二 余子
下仲烟五並余子 下下烟六以余子五法私一 三年間中收坐內烟一
合人百卄五 此中古有人三年間中産幷合人百十八〔七〕
以丁卅〔一〕以奴四 助子五 追子二 小子二 三年間中産小子三
老公一 丁女卌五以婢三 助女子四 追女子十三 小女子六
三年間中産小女子三 除母一 老母二 三年間中加收內合
人七 以列加人▣(三)以丁一 追女子一 小女子一 收坐內烟合人四以助子一 老公一 丁女二
合馬十八以古有馬十六三年間中加馬二 合牛十二以古有十一 加牛一 ▣▣▣▣(合畓六十)三結▣(六)十四
負九束 以其村官謨畓三結六十六負七束 ▣(烟)▣(受)有畓五十九結
九十八負二▣(束) 合田百十九結五負八束並烟受▣▣(有之) 合麻▣▣▣(田一結)
▣…▣▣▣▣(合桑千)二百八十以三年間中加植內百八十九古有千九十一 合栢子木六十▣(九)
以三年間中加植▣(內)▣(十)▣(古)▣(有)五十九 合秋子木七十一並古之
乙未年烟見▣(賜)▣(以)▣(彼)上烟亡廻去孔一 以合人三以丁一 ▣(丁)女二▣▣▣▣(列廻去合)
▣…▣
【經帙의 裏片】
▣…▣
以下仲烟一 下下烟六 三年間中新收坐內烟一
合人 七十二〔六十九〕 此中古有人三年間中産幷合人六十五
以丁十八〔六〕 助子二 追子七 小子七〔六〕 三年間中産小子三
丁女十四 助女子四 追女子三 小女四 三年間中産小女子二
老母一 三年間中新收內合人七 以列收內小女子一
收坐內烟合人六 以丁一 追子一 小子一 丁女一 追女子一
合馬八以古有四 三年間中加四 合牛十一 以古有五 三年間中加六
合畓七十一結六十七負 以其村官謨畓三結 烟受畓六十
八結六十七負 合田五十八結七負一束 並烟受有之
合麻田一結▣負 合桑七百卅以三年間中加植桑九十古有六百卌
合栢子木卌二並前內視令節植內之 合秋子木百七並古之
列廻去合人三〔四〕 以丁二丁女一小女子一 列四合人四〔六〕 以丁女二小女子二
合无去因白馬四以賣如白三死白一 死牛一
前內視令節植內是而死白栢子木十三
西原京□□□村見內地周四千八百步 合孔烟十 計烟一余分五
此中 下仲烟一 下下烟九 合人百十八〔六〕 此中古有人三年
間中産幷合人百十四 以丁十九〔七〕 以奴二 助子九〔八〕 以奴二 追子八六
小子十一〔九〕 三年間中産小子一 老公一 丁女卅七〔五〕 以婢四助女五〔四〕
追女子十■(二)以婢一 小女子五〔三〕 三年間中産小女子六
三年間中列收內合人四 以小子一 丁女一 助女子一 老公一
合馬十並古之 合牛八以古有七 加牛一
合畓卄九結十九負 以其村官謨畓三結卄負 烟受有畓
卄五結九十九負 合田七十七結十九負 以其村官謨田一結
烟受有田七十六結十九負 合麻田一結八負 合桑千二百
卅五以三年間中加植內六十九古有千百六十六 合栢子木六十八以古有六十 三年間中加植內八
秋子木卌八並古之 乙未年烟見賜以彼上烟亡廻去孔一
▣(以)合人六以丁二 丁女二 小女子二 列廻去合人八以丁一 助子一 追子一 小子一
▣(丁)女二 小女子二 列死合人卄一 以丁五以奴一 追子一 老公三丁女四以婢一
小女子三〔四〕 老母四以婢一 孔亡廻一合▣(人)▣▣(十一) ▣(以)▣(丁)二 助子一 小子二 丁女二 助女子▣(一) ▣(追)女子二 小女子一
甲午年壹月▣(內)省中及白▣(色)▣▣追以出去因白妻是子女子
幷四以丁女一 小子三 合无去因白馬三以賣如白一 死白馬一 廻烟馬一
▣…▣(合无去因白牛六)以賣如白牛一 廻去烟▣…▣(牛一 死白四)
▣…▣ ... 번역 예정.
민정문서 내지 촌락문서를 작성한 이유는 촌락의 경제능력을 수치로 산출해내어, 촌 단위 조세의 수취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기하려는 데 있으며, 촌락지배를 유지하기 위함으로 생각된다. 그 내용은 먼저 당현 촌락의 인구를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땅의 종류를 기록하고 있다. 그 소, 말, 뽕나무 같은 것까지 기록하는 것 역시 주목된다. 노동력을 파악하는 방법이 세분화 되어 있는데, 남녀별로 노동력을 구분하여 정남/정녀 및 기타 인력들을 세부적으로 조사해놓았다. 또한 16세에서 60세의 남자의 연령을 기준으로 나이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 하여 기록하였다. "그 내용은 대체로 1. 촌명과 촌역 2. 호의 구성 3. 인구의 구성 4. 우마의 수 5. 토지의 구성. 6. 뽕나무, 잣나무, 호도나무의 수 7. 인구의 변동 8. 우마의 변동 등으로 되어 있다."(뿌샘 - 통일신라 및 발해 편.) 이 촌락문서는 3년에 한 번씩 작성되어 수시로 인구변동상황을 파악하고 있었다.
이 문서의 작성 목적을 알 수 있는 2가지 내용을 기술하자면, 토지에 대해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수유전답(烟受有畓), 관모답(官謨畓), 내시령답(內視令畓), 촌주위답(村主位畓), 마전(麻田) 등 항목별로 농민들의 토지소유 실태를 적어놓고 있는데, 이를 통해 경제규모에 대한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烟'이란 농민의 가호(家戶)를 뜻하여 농민들의 토지를 뜻한다. "이는 성덕왕 21년 722년에 '백성정전(丁田)을 주었다.'는 기록과 결부시켜 백성정전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관모답과 내시령답과 촌주위답은 촌정에 관여하는 관리 혹은 촌주에게 지급한 직전이라 생각된다."
또 하나는 노동력의 상황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당시 국가의 대민지배와 치밀한 수취가 이루어져 있음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대개 촌의 주민은 농민과 노비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농민과 노비들도 특히 연령에 따라 나누고 있다. 그리고 또한 소와 말도 파악하고 있어서 노동력 본위의 수취가 이루어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인구의 이동까지 문서에서 확인이 되고 있는데, 치밀한 촌락지배체제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된다.
'임용기출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기출 한국사 고대] 해상무역왕 장보고 (0) | 2021.05.31 |
---|---|
[임용기출 한국사 고대] 숭복사 비문 - 신라말 풍수지리설, 민정문서 - 성덕왕 시기 지급한 정전으로서 '연수유전답'설 (0) | 2021.05.31 |
[임용기출 한국사 고대] 대당 관계 : 숙위학생 (0) | 2021.05.28 |
[임용기출 한국사 고대] 신라의 6두품, 김헌창의 난 (2) | 2021.05.28 |
[임용 기출 한국사 고대] 신라 귀족들의 반란 (0) | 202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