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비극의 구조

취미와 문화 2023. 3. 15. 16:34
반응형

비극의 구조

개인적인 정리 용도의 글이다.
비극의 구성요소란 다음과 같다.
1) 남부러울 것 없는 상황의 주인공
2) 주인공이 지닌 금지된 욕구 : 독자들도 그의 남부러울 것 없는 상황보단, 이 금지된 욕구에 집중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금기가 통념상 혹은 윤리적으론 금지되어 있으나, 독자들은 설득할 만한 사연이 있어야 한다.
3) 욕구를 얻기 위해, 남부러울 것 없는 조건들을 하나씩 버리는 주인공.


[세분화된 플롯]

0. 주인공의 공허함과 뿌리깊은 슬픔이 잠시 세월에 덮인다.

1. 시간이 지나 뭐 하나 부족할 것 없이 훌륭해진 주인공. 다만 본인은 만족하지 못한다.

2. 주인공이 과거로 인해 치명적이고 선천적이며 금기시되는 특성을 지닌다.

3. 각종 장애물이 등장. 유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1) 주인공으로 하여금 금기 이외의 다른 것들을 포기하게 하는 장애물.
2) 주인공의 금기를 좌절시키려는 장애물(인물). 주인공의 금기가 공상적이고 환상적이라면, 이 장애물의 행동은 지극히 현실적이다. 그러므로 이 장애물이 없더라도, 주인공은 애초부터 금기를 달성할 수 없다. 하지만 독자들은 주인공의 눈으로 비극을 보기에, 독자들은 주인공과 함께 이 장애물을 원망해야 한다.
3) 주인공을 금기로부터 떼어내 일상세계로 돌려놓으려는 장애물. 보통 이 장애물이 등장할 땐, 주인공이 이미 많은 것을 잃은 상태로, 공허함을 버티지 못한다.

4. 결국 주인공은 금기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비교적 사소한 것, 그러나 외부에서 보기엔 소중한 것을 잃는다.

(* 3~4번을 반복하도록 배치된다.)

5. 주인공의 금기가 폭로된다.
경우 1) 주인공이 금기가 허구였다는 걸 깨닫는다.
경우 2) 주인공의 행동이 금기 그 자체였다는 걸 깨닫는다.
이로써, 주인공은 금기를 추구했던 모든 순간들의 가치가 충격적으로 폭락하는 것을 체험한다.

6. 주인공의 손에 유일하게 남은 금기의 상징까지 잃는다. 혹은 금기의 상징을 스스로 버리거나, 금기 대신 목숨을 잃는다.


[비극의 테마]
주인공이 소중히 지키려는 것은 어떤 것보다 사적이어야 하고, 주인공이 시간이 지나며 버리는 것은 보통 사람들에게 소중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다.

1. 사랑의 무상함 - 영원한 사랑을 꿈꿨으나, 현실 앞에 너무나도 나약한 사랑

2. 내 근원에 대한 집착 - 나의 근본적 한계, 즉 신분, 장애 등으로부터 벗어나려 할수록 그것들은 더 선명해진다.

3.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혹은 짝사랑


[비극 플롯 전체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의 종류]
1. 악의 거대한 계획

2. 기피 불가능한 초자연적 운명

3. 개개인의 욕망이 고수되면서 발생하는 사건들

4. 주인공의 정신세계 - 집착, 강박, 병, 트라우마, 낭만, 착각

각 요소들은 주인공이 그럴듯한 대안을 버리고, 최종적으로 자신을 몰락하게 하는 선택만을 고르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