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양사 37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클레이스테네스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클레이스테네스 * 완쌤 : '5도'가 '부족'해 - 500인회, 도편추방제, 부족제 개편 부족제 개편 : 혈연, 지연과 관계없는 10개 부족(필레)으로 50여년 간의 참주정은 끝나고 새로 아르콘을 선출할 시기가 돌아왔음. "히피아스의 추방(기원전 510)으로 참주정치가 쓰러지자, 이를 타도하는데 협력하였던 귀족과 평민 사이에 다시 대립과 분쟁이 발생하였다. 이 분쟁에서 추방된 귀족의 한 사람인 클레이스테네스는 아테네로 귀환하여 평민의 지지를 획득하고, 스파르타의 힘을 빌려 저항하던 반대파 귀족을 분쇄하고 민주적 개혁에 나섰다. 그의 개혁의 목표는 종전의 혈연적, 지연적 유대나 경제적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아테네의 전시민에게 평등한 참정권을 부여하는 것이었다."(민석홍, 서양사개론)..

서양사 2021.04.20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스파르타식 교육 - 강한 교육, 여성교육, 동성애적 교육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스파르타식 교육 - 강한 교육, 여성교육, 동성애적 교육 3. 스파르타식 교육 1. 스파르타식 교육의 배경 : 항상 스파르타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헤일로타이, 즉 노예들의 반란을 막기 위해서 5~10%의 스파르타 시민들은 항상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했음. 그래서 항상 이 아이가 정상인가 비정상인가, 건강한 스파르타 시민으로 자랄 수 있는가를 검증을 받아야 했음. 불구로 태어난 아이가 있으면 산에다가 버리고, 불구가 아니고 비실비실한다고 해도 내다 버림. 건강한 아이들은 항상 전쟁 시와 유사한 교육을 받아야만 했음. 1) 어려서부터는 어머니의 교육을 받다가 7살부터는 국가 차원의 관리를 받음. 2) 7세부터 6년: 파이디온(아동기)으로서 기초교육 및 읽기 쓰기 교육을 받음...

서양사 2021.04.20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 스파르타(라케다이몬)의 성립, 리쿠르고스 체제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 스파르타(라케다이몬)의 성립, 리쿠르고스 체제 1. 스파르타의 성립 아테네의 귀족사회가 동요했던 것과 달리, 스파르타는 꽤 안정적인 곳이었음. 도리아족인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라코니아 지방에 자리하게 되었는데, 정복민과 피정복민 간의 관계가 스파르타 특유의 시민등급을 나누게 되었음. 1. 스파르티아테스(Spartiates) : 스파르타 시민단. 어릴 때부터 전사로 키워짐. 2. 페리오이코이(perioikoi) : 주변인(주로 외국인), 똑같은 스파르타 사람들이면서 남하한 도리아 인들 중에 아직 시민이 아닌 사람들. [혹은 원주민 중에서도 스파르타의 지배를 받아들이고, 종속적인 지위를 감수한 자는 신분은 자유로우나 시민권이 없는 상태로서 페리오이코이가 됨.(서양사개론)]..

서양사 2021.04.20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고대 그리스 - 귀족정의 위기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고대 그리스 - 귀족정의 위기 * 아테네는 당시 도시와 농촌의 중산층 이상의 유산시민이 국방의 주력으로 떠오르게 되면서, 평민의 발언권이 점점 비공식적으로 강해지고 있었음. 당시의 군대는 총칼을 나눠주는 게 아니었고, 스스로 무장을 준비해 전투에 참여하는 형식이었음. 그래서 돈이 없으면 무장도 없고, 제대로 밀집보병 대형에 참여할 수 없었음. 만약 참여를 한다고 해도 배에서 노를 젓는 사람 정도는 할 수 있었다고 함. 물론 이렇게 평민권이 신장이 되었다곤 하지만, 평균적으로 돈은 귀족이 많고 평민이 돈이 적었음은 당연지사. 1. 드라콘 법(기원전 621년) : 그리스 최초의 성문법 아테네 귀족정의 위기의 지표 중 하나는 귀족들이 관습법적인 권위를 점차 잃어간다는 것임. 법적 판단의..

서양사 2021.04.16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고대 그리스 - 폴리스, 평민권의 신장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고대 그리스 - 폴리스, 평민권의 신장 완쌤 : 솔~페클페~ 솔~페클페~ 솔론-페이시스트라토스-클레이스테네스-페리클레스 폴리스의 성립 1. 폴리스란? 도시국가. 단, 농업과 도시행정이 공존하고 있었음. 2. 폴리스의 특징 : 시민의 자유, 시민의 자치, 자급자족(그러나 사실 평야가 좁은 그리스의 불리한 지리 조건 때문에라도 식민운동이 필요하다.) 우리는 끝으로 최종적이고 완벽한 결사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것은 여러 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폴리스이다. ... 폴리스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결사들의 완성이고, ... 이러한 고찰에서 명백하게 되는 폴리스는 이런 여러 결사의 종착역이며, 최고의 단계이다. ... 자급자족(Self-sufficiency)이야말로 폴리스의 최종의 목표이며, 따라..

서양사 2021.04.16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히브리, 페니키아, 에게 문명

[서양고대사 정리노트] 히브리, 페니키아, 에게 문명 히브리 문명 1. 히브리 문명이란 : 이스라엘 사람들의 선조로서, 팔레스타인에 이룩한 문명. 본래 메소포타미아 우르 출신. 2. 히브리 문명의 특징 : 1) 유일신 사상 2) 선민사상 3) 메시아 사상 페니키아 문명 1. 페니키아 문명의 특징 : 팔레스타인 북쪽 해안로를 주로 사용하여 지중해 교역에 종사. 아프리카 북부 카르타고 지역까지 진출하여 농업활동을 하기도 하였음. 2. 페니키아 문자 : 지중해를 중심으로 교역활동을 하던 와중에 페니키아 문자를 그리스에 전파하였음. 오늘날 알파벳의 기원으로 지목됨. 카드모스와 함께 이주한 포이니케(페니키아)인들 - 게퓌라이오이 가도 그 중에 일부였다 - 은 보이오티아에 정착함으로써 헬라스에 여러가지 문명, 특히..

서양사 2021.04.16

오리엔트 문명 메소포타미아 ~ 히브리 문명 초기사

["오리엔트"와 문명] '문명'이란 : 통상 문자와 도시가 있을 때를 기준으로 문명이라고 칭함. 오리엔트 : '동방'이라는 개념 내포. ['오리엔트' - 메소포타미아 문명] "메소포타미아" : 두 강(티그리스 강 ~ 유프라테스 강) 사이 지역 1) 우바이드 문화 : 우르 북서쪽의 우바이드(표기 빠뜨림)에 촌락이 발견되었는데, 초보적(신석기 수준) 단계의 농업 정주 문화가 엿보임. 2) 우루크 번창(기원전 4300~2900) : 신석기 우바이드 촌락에서 도시국가로 넘어가는 전환기로서 우르크 지역이 발전했음. 3) 수메르인 시기(기원전 2900~2350) : 초기 전반기에는 작은 여러 지역들이 나타났고, 우르크 지역이 강성했음. 루갈이라고 하는 군주가 다스리는데, 종교리더가 아니라 정치리더라는 점에서 주목할..

서양사 2021.02.24
728x90